2018년 주요 해역에서 오징어 생산 회복 조짐 보여

2018년 주요 해역에서 오징어 생산 회복 조짐 보여

 

 

 2015년 이후 세계 오징어 생산 부진이 시작되었다.

- 전 세계 오징어 생산은 2014 486만 톤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전환되어 2016년에는 363만 톤으로 전년(477만 톤) 대비 24.0% 급감하였다.

- 2016년 기준 대륙별 생산은 아시아가 247만 톤으로 전체 생산량의 68.2%를 차지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아메리카(20.3%), 아프리카(5.2%) 등의 순이며, 최근 아시아와 아메리카 지역에서의 생산 감소세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도 오징어 생산 감소로 수출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우리나라의 오징어 생산도 2014 33만 톤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감소세로 돌아서서, 2017년에는 14만 톤을 생산하여 2014년 대비 50% 이상 감소하였다.

- 어업별로 보면 연근해어업, 원양어업 모두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원양어업에서의 생산 감소세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오징어는 국내에서 연간 약 20만 톤 이상 소비되는 대중어종으로, 최근 생산 부진으로 내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수출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이에 연간 약 1억 달러 이상 수출하던 오징어 수출이 2017년에는 7,800만 달러를 기록하여 201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 2018 1분기 수출도 물량 확보 어려움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약 20% 감소한 900만 달러로 수출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 다만 최근 포클랜드 어장을 중심으로 오징어 생산이 회복되고 있는 만큼 오징어 수출 회복을 위해서는 안정적 생산 기반 확보를 통해 충분한 물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페루, 포클랜드 해역 등에서 2018년 오징어 생산 회복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 2018년 페루 정부는 대왕 오징어 쿼터를 60 9,000톤으로 설정하였다. 페루 내 대왕 오징어는 엔초비(Peruvian anchovy)에 이은 2번째 생산 품목으로 연간 약50만 톤을 생산하고 있다.

- 한편, 2016~2017년 부진했던 오징어 생산이 2018년 초에는 호조를 보임으로써 오징어 가격이 하락하여 kg  0.93~1.23$ 정도로 거래되고 있다.

- 세계 최대 오징어 생산 지역 중 하나인 포클랜드 해역에서도 화살오징어(Loligo squid)를 중심으로 생산 호조를 보이고 있다. 금년 시즌 첫 조업(3)에서 어선들은 하루 약 20~40톤의 화살오징어를 안정적으로 조업하여 약 2만 톤을 어획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일렉스 오징어(illex squid)의 생산은 화살 오징어에 비해 불안정하며, 금년 초기 생산도 평균수준으로 나타났다.

- 현재까지 포클랜드 어장에서 약 3 2,000톤의 오징어가 어획되어 생산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만, 최근 따듯한 물의 유입으로 인한 수온 변화로 오징어 서식지역이 확산됨에 따라 지속적인 오징어 생산 호조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이상건 수산연구본부 해외시장분석센터 연구원

(sglee@kmi.re.kr/051-797-4597)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