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세계 수산물 생산, 지속 증가 전망

2018년 세계 수산물 생산, 지속 증가 전망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2017년 세계 수산물 생산량이 2.3%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 엘니뇨가 약화되어 남아메리카의 멸치 어획량이 회복되었으며 세계 양식 수산물 생산량이 매년 약 4-5% 증가하고 있다.

- 어분과 어유(魚油)로 주로 사용되는 페루산 멸치의 어획량이 늘어나 양식업계에도 좋은 소식이 되고 있다.

- 또한 전 세계적인 수산자원 관리 노력에 힘입어 2017년 어로 어획이 1-2%가량 회복될 것으로 보이며 2018년에도 이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의 양식업 발전은 향후 수산물 생산량의 지속적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 중국은 양식업의 혁신과 고품질 생산에 집중하여 2015 4,700만 톤이었던 양식 생산량을 2025년까지 6,200만 톤으로 30% 가량 증가시킨다는 계획을 세웠다.

- 이와 함께 중국은 2020년까지 2만 척의 어선을 감축하고 금어기를 기존의 3개월에서 4개월로 연장하여 어로 어획을 포함한 수산물 생산량 감소가 단기적으로 예상된다.

- 단기적인 생산 감소로 중국의 수산물 수입은 2017년에 570만 톤에서 2020년에는 640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국내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연어 양식의 성장에 힘입어 2018년 세계 양식 산업도 3-4%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 지난해 문제가 되었던 적조와 바닷물이(Sea Lice)에 대한 해결 노력으로 노르웨이와 칠레의 연어 양식 성장률이 7%를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이에 따라 노르웨이 연어의 가격은 kg 50-65NOK( 6,500-8,500)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 한편 인도, 에콰도르, 인도네시아는 양식업 발전을 통해 주요 새우 수출 국가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들 국가가 조기 치사증후군(Early Mortality Syndrome, EMS)과 미포자충 감염 (Enterocytozoon Hepatopenaei, EHP)을 잘 통제한다면 전 세계 새우 공급 증가가 예상되어 안정된 가격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늘어난 생산량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인 경기 개선에 따른 수요 증가로 여러 주요 수산물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 시장이 중산층 소비자 중심으로 급속히 변모하고 있어 수산물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 지난 몇 년간 최대 새우 수출국이었던 중국은 현재 수입을 더 많이 하고 있으며, 99%의 물량이 중국으로 수출되는 뉴질랜드산 닭새우의 가격은 지난 10년 사이에4배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 그 밖에 남아메리카와 아시아의 개발도상국 시장의 수입 증가가 눈에 띄게 늘고 있으며, 지난 2년간 경기 침체로 수산물 수요가 감소했던 브라질과 러시아의 경제가 최근 회복하고 있어 수산물 가격 상승 추세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산물 공급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세계 수산물 수출액은 약 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연어, 새우, 다랑어, 대구 등 주요 수산물의 가격 인상은 여러 생산국들의 수출이익을 증가시켰다.

- 특히 인도는 새우의 수출 증가로 수산물 수출액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새우 및 다랑어 가격의 인상으로 여러 중남미 국가들이 이익을 보고 있다.

- 또한 노르웨이, 칠레, 영국도 연어 수요 증가와 한정된 연어 공급의 영향으로 상당한 수출이익을 거두고 있는데, 연어 공급 확대로 2018년 연어 가격은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단기적으로는 세계 수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여러 변수에 대비한 중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 네덜란드의 다국적 금융기관인 라보뱅크(Rabobank)의 분석에 따르면 2018년의 국제 양식 수산물 성장은 물량 측면에서 3-4%에 달할 것이며,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국가들의 성장에 의한 추가적인 수산물 생산량 증가가 예상된다.

- 그러나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질병, 기후변화 등의 위협과 중국의 생산 침체가 수산물 수급의 불안정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 수산물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안정적인 수산물 수급 관리를 위해 이러한 변수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백준혁 수산연구본부 FTA이행지원센터 연구원

(sky3422@kmi.re.kr/051-797-4914)

목록으로